본문 바로가기

3분 건축 _ Easy Architecture Story11

마포 파티룸 '마음에 퐁당'_ 김경현 대표 살짝쿵인터뷰 N잡 마포 파티룸 _ 마음에 퐁당 마포에 위치한 파티룸 '마음에 퐁당'을 운영중인 김경현 대표님과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나는 요즘 한창 부업에 관심이 많다. 유튜브는 하고 있지만 시간투자가 많이 필요해서 잘 안하기도 하고, 건축이라는 컨텐츠가 잘 소비되지는 않는 이유도 있겠다. 올해까지 구독자 3만명 채우는게 목표였지만, 쉽지 않을 듯 하다. 스마트스토어는 얼마전 시작했지만, 주문은 없는 상태. 요즘 내가 가장 관심을 갖는 건 에어비앤비와 파티룸.. 그러다 지인의 소개로 김경현님을 알게 되었고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었다 카메라를 정말 오랫만에 켜보았다. 오늘을 위해 조명도 하나 더 장만했다 미리 도착해서 이미지들도 담아두었다. 이름처럼 풍경이 내 마음에 퐁당하고 들어오는 기분이다. 인터뷰는 퇴근 후 진행했고, 식.. 2022. 11. 9.
싱크대 공사, 마루 공사, 벽&천장 도배... 어머니의 부엌 고치기 대작전 왜일까... 지금 이 타이밍 좀 당황스럽다 지금 나는 내 몸 가누기도 힘든데, 어머니가 싱크대 공사를 하겠다고 선언하셨다 다리를 접질러 깁스를 하고 있는데, 어찌 공사를 하시려고.. 근데 혼자서 업체들 부르고 선정하고 다 하셨다. 그나마 도움이 되고자 가구배치를 해보려고 싱크대 치수를 쟀다 새벽 5시에 눈이 떠져서 줄자와 레이저측정기로 부엌 쪽 치수들을 재봤다. 스케치업으로 배치를 해봤다. 아일랜드 식탁이 너무 길게 나오면 내방과 안방으로 가는 동선이 너무 좁은거 같아 좀 걱정이다. 싱크대 철거 후 오후에 바로 타일공사 완료 퇴근할 때마다 조금씩 공사가 진행되어 있었다 부엌 바닥이 많이 상해서 부엌 바닥만 교체하기로 함. 다음날 부엌 바닥이 철거 되어 있었다 냉장고 옮기는게 일이었다고 한다 김치 냉장고는.. 2022. 10. 4.
초간단 수채화 효과 공짜로 쓰기 미안한 프로그램 Fotosketcher 손쉽게 수채화 효과를 내는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검색창에 fotosketcher 라고 치시면 바로 나오구요 페이지 상단 다운로드 메뉴로 들어가면 바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100% 무료 프로그램이구요 실행을 하면 좌우로 두 화면이 나오는데 왼쪽이 원본 오른쪽이 효과를 준 이미지가 나오게 됩니다 이미지를 그대로 드래그 해도 되고 상단 메뉴 ‘파일 – 사진 열기’ 를 통해 불러 올 수도 있습니다 상단 팔레트 모양을 누르면 효과창이 뜨는데 미리보기 창을 보면서 설정 값을 조절할 수 있고, 그리기를 누르면 바로 효과가 적용됩니다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는 저장하기 버튼을 통해 바로 저장 할 수 있구요 만들어진 이미지들을 한 번 비교해 보겠습니다 원본 .. 2022. 5. 6.
만화로 체험하는 '알기쉬운 건축여행'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축협회에서 제작한, 쉽게 말해 건축 관련 만화책입니다 말이 만화책이지 그림으로 쉽게 설명하려고 만든 배포자료이지요 용량 문제 때문에 직접 업로드는 안 되네요 아래 링크를 따라가면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알기쉬운 건축여행 공지사항 상세보기 (molit.go.kr) 공지사항 www.molit.go.kr 2022. 4. 29.
건축 실무 필수 프로그램 건축 실무를 하다 보면, 다뤄야 할 프로그램들이 꽤 있습니다. 설계자는 계획한 공간을 도면으로 표현하고, 시공자는 그 도면을 실체화 시키죠. 그렇기 때문에 설계자는 설계한 건물이 잘 지어질 수 있도록 잘 설명을 해야 합니다. 잘 설명하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게 되죠! 가장 기본적으로는 도면으로 표현하고, 거기에 컬러링을 한다던지 아니면 모델링을 통해 좀 더 자세히, 더 정확히 나타내고자 하죠 거기에 조명, 빛의 반사, 재료의 재질감 등이 더해진 실사 렌더링을 통해 좀 더 현실감 있는 모습을 보고 싶어합니다. 아니면 여러가지 효과를 통해 감각적인 이미지로 표현 하기도 하구요. --------------------------------------------------------------------.. 2022. 4. 16.
모르면 대략 난감한 현장용어 건축현장 현장에서 쓰이는 용어들이 대부분 일본 용어들이 많죠. 일본어를 왜 계속 쓸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세가지 이유로 생각되는데 첫째, 일단은 나만 알고 있다. 계층적인 우월감을 갖는다. 현장 용어들을 제대로 쓰고 사용할 줄 알면 왠지 실력자로 인정받는 분위기가 좀 있는거 같아요. 두번째는 현실과의 타협 문제인것 같아요 그걸 바꾸려고 해도 이미 현장에서는 그렇게 많이 쓰고 있고 현장과의 소통을 위해서는 그걸 쉽게 바꿀 수는 없는 거죠 그리고 세번째는 잘 몰라서 쓰는것도 있는거 같구요 원래는 어떤 의미인지 어떤 단어가 맞는지 우리가 좀 알고는 있어야 되지 않을까 해서, 제 기억에 많이 남는 것들만 몇 개 추려봤습니다 일단 크게 두 분류로 나눠 봤는데요 [step.1 대놓고 일본어] 노가다(どかた) _ 행동과 성질.. 2022. 4. 8.
EdrawMax_캐드 없이도 쉽게 도면을 그린다 Edrawmax 캐드없이 도면을 뚝딱 만드는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도면을 그리기 위해서는 캐드가 필요 하죠. 건축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도면을 작성할때는 캐드를 사용합니다. 캐드는 정밀하고 정확한 도면을 작성할 수 있지만, 결코 쉬운 프로그램은 아니죠 이 EdrawMax 라는 프로그램은 쉽게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설치는 검색창에 EdrawMax 라고 검색하시면 홈페이지에서 바로 다운 받아 설치할 수 있구요. 프로그램 실행하면 여러 템플릿이 있는데 그 중에서 평면도 선택하시면 됩니다. 왼쪽 메뉴에서 여러가지 소스가 있는데, 선택해서 드래그하면 소스가 도면으로 들어오는 방식이죠. 이렇게 늘리고 줄이고 할 수 있고, 벽체 길이를 직접 입력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중간 벽체들을 설치해주는데, C.. 2022. 4. 2.
건축추천도서 건축의 바이블이라고 여겨지는 책 한권을 소개시켜드리려고 합니다. 실제로 첫 설계사무소 책장에 배치되어 있어서 모르는게 있으면 자주 찾아보던 책입니다. 회사를 옮기고 문득 생각나서 구매하려고 했을 때, 절판되서 구입할 수가 없더군요. 얼마전에 Rev.2가 나왔습니다. 이제는 쉽게 구할 수 있지요. 책은 건축공사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고, 어떻게 보면 시공쪽 내용이 더 많습니다. 하지만 설계를 하는 데 있어서도 필요하다고 저는 확신 합니다. 책은 건축 1, 2 두 권으로 되어 있습니다. 건축의 바이블.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는 전적으로 제 판단이고, 어딘가에서 바이블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던지 필독서 라고 명성을 공시하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실제 실무자들 특히 시공파트에서 많이 보는 책이라 알고 있고 시.. 2022. 3. 31.
건축도면 보는 방법_입면도 입면도 : 건축물의 외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건물의 높이 외부 형태를 확인 할 수 있고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등으로 사면을 표현하고 보통 치수표기는 하지 않습니다. (단면도에는 치수가 들어가지만) 레벨을 표기하는 방식은 보통 T.O.C = Top of Concrete 로써 건물 구조체의 높이를 보통 표현하지만 프로젝트에 따라서 T.O.F = Top of Finish 로써 건축마감까지한 바닥 높이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레벨의 기준은 보통 1층 바닥으로 잡는데 1층 바닥레벨 ; FL±0.00 대지 레벨은 ; G.L=FL-200 (보통 대지 레벨과 200~300mm차이나게 1층 바닥 높이를 잡음) 2층 바닥레벨 ; FL+4000 ..... 그리고 입면도에서는 그리드도 표현이 됩니다. 그리드는.. 2020. 2. 10.
건축도면 보는 방법_평면도 설계도면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평면도입니다. 건물을 잘라서 위에서 바라 본 모습이지요 보통 바닥에서 1.5m 올라온 위치를 자른 모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건물의 크기와 실의 배치가 출입문의 위치 등등 건물의 대부분의 정보가 나와있습니다. 물론 건물의 여러층이라면 각 층별로 평면도가 필요하겠죠 평면도에는 각 실의 이름과 해당 구회의 레벨도 표기가 되는데, 이때 나오는 레벨(고도)는 건축 마감 레벨입니다 구체의 레벨은 구조도면을 확인 하거나, 단면상세도를 통해서 확인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건축마감의 레벨표기는 T.O.F FL+0.00 / T.O.F FL+3000 이런식으로 표기하고 구조도면의 레벨표기는 T.O.C FL+0.00 / T.O.C FL+3000 이렇게 표기 됩니다 T.O.F = TOP OF.. 2020. 1. 14.
건축도면 보는 방법_재료기호 건축도면(설계도면)에서 재료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도면처럼 단순하게 벽체에 해치를 넣어서, 벽체만 따로 구분해서 표현 할 수도 있지만, 재료표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어떤 재료인지 구분하기도 합니다 윗 이미지처럼 일정한 무늬, 도면에서는 해치(hatch)라고 하는데, 이 무늬들 만으로 어떤 재료인지 알 수 있게 됩니다. 한 도면안에 같은 재료들만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어떤 벽체는 콘크리트 벽인지... 어떤 벽체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쌓았는지, 또한 어느 부분에 단열재가 들어가는 지...등등 ...이렇게 해치로 구분이 된다면 더 쉽게 파악이 되겠죠? 2020. 1. 14.